[주식용어사전정보]객장 [客場]


요약하면 주식용어로 증권회사에서 고객이 모이는 곳이다.


주식 투자자들이 모이는 곳으로, 증권회사의 영업소 내에 설치되어 있다. 고객의 투자판단을 돕는 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주식시장 정보를 한눈에 볼 수 있도록 시세판을 설치하고 각종 투자자료를 갖추고 있는 것이 보통이다.

인터넷이 발달하면서 온라인시스템을 통한 주식의 사이버거래인 사이버트레이딩(cyber trading)이 활발해져 시세판을 설치하지 않는 곳도 등장하고 있다. 사이버트레이딩은 수수료 부담이 적으며, 직접 현장에 가지 않아도 되므로 시간을 절약하는 장점을 지닌다. 대략 소액투자시 객장의 수수료가 0.5%인데 비하여 사이버트레이딩은 0.1%에 불과하다.

[주식용어사전정보]객장 [客場]주식용어정리 증권용어사전 주식용어사전 초보주식용어 주식은어 금융용어 주식용어100 주식원리 재테크 국제금융용어 면접금융용어 금융용어정리 주식정보

블로그 이미지

천예탱

경제 흐름에 관해 담아보는 블러그

,

[주식용어사전정보]거래성립률 [去來成立率]

요약하면 주식용어로 상장종목 가운데 거래가 성립된 종목의 비율이다라고 말 할 수 있다.


주식시장에 상장된 종목 가운데 거래가 성립된 종목의 비율을 말한다. 거래가 성립되는 종목의 수준을 파악하여 주식시장의 번한도를 분석하는 데에 사용되는 비율로, 거래종목수를 상장종목수로 나눈 뒤 100을 곱하여 산출한다. 개별종목과 전체종목에 같이 이용될 수 있는 것으로, 65%가 되면 주식시장이 강세라고 표현하고, 55% 이하면 약세로 판단한다.

개별종목에 이용할 때는 개별종목의 거래일수가 총거래일수에서 차지하는 비율을 뜻한다. 인기종목은 매일 거래되므로 이 비율이 100%에 이른다. 전체종목에 이용할 때는 전체 상장종목수에서 거래가 성립된 비율을 의미한다. 주가가 상승하면 거래가 성립되는 종목이 늘어나 비율도 상승하고, 하락하면 그 반대가 된다. 80%를 기준으로 90%를 넘어서면 매도신호, 70% 이하이면 매수신호로 파악한다.

[주식용어사전정보]거래성립률 [去來成立率]주식용어정리 증권용어사전 주식용어사전 초보주식용어 주식은어 금융용어 주식용어100 주식원리 재테크 국제금융용어 면접금융용어 금융용어정리 주식정보


블로그 이미지

천예탱

경제 흐름에 관해 담아보는 블러그

,

[주식용어사전]위스퍼링주 [whispering stock, -株]


요약하면 소수의 사람들 사이에서만 은밀하게 전해지는 정보에 의해 주가가 좌우되는 주식을 말한다.


‘속삭이다’라는 뜻의 ‘위스퍼(whisper)’에서 비롯된 주식용어로, 시장에는 잘 알려지지 않고 극소수의 투자자 사이에서만 마치 귓속말을 하듯 전해지는 은밀한 정보에 의해 주가가 좌우되는 주식을 말한다. 주로 M&A(인수합병)와 관련된 주식이 많다. 주식시장의 고급정보들은 일반투자가들의 접근이 어렵지만 위스퍼링주의 경우 일반투자자는 물론 기관투자가들 역시 정보를 알지 못하는 일도 많다. 

이런 주식은 거래량이 많지 않아도 주가가 급등하기도 하며, 일반투자자들에게까지 정보가 어느 정도 퍼질 때에는 이미 충분히 높은 주가가 형성되어 있는 상태가 된다. 일반적으로 주식시장에서 비밀스럽게 소통되는 정보는 객관적 판단기준을 가지고 있지 않아 불확실성이 높으므로, 위스퍼링주는 투자 위험성이 높은 편이다.

[주식용어사전]위스퍼링주 [whispering stock, -株]주식용어정리 증권용어사전 주식용어사전 초보주식용어 주식은어 금융용어 주식용어100 주식원리 재테크 국제금융용어 면접금융용어 금융용어정리 


블로그 이미지

천예탱

경제 흐름에 관해 담아보는 블러그

,

[주식용어사전정보]가격역지정거래완료 [stopped out, 價格逆指定去來完了]

요약하면 어떤 특정 역지정가에 주문이 행사되는 것이다.


어떤 특정 역지정가()에 주문이 행사된 것을 이른다. 주가나 선물 또는 옵션의 가격이 지정한 가격이상이 되면 매입하고 이하가 되면 매도하도록 하는 주문이 완료된 것으로, 이때의 주문을 가격역지정주문() 또는 스톱오더(stop order)라고 한다. 

여기에서 역지정가란 일반적인 주식매매 방식과 반대되므로 붙여진 것이다. 곧 주가가 하락할 때 사서 상승할 때 파는 것이 일반적이나 역지정가는 주가가 지정한 가격 이상이 되면 오히려 사고 이하가 되면 파는 것을 말한다. 

매입시는 주식시장 활황에 편승하여 이익을 획득할 수 있는 반면 매도시는 주가하락에 따른 손실을 일정범위 내로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자신이 원하는 가격으로 거래를 체결시킬 수 있다는 장점을 지닌다. 

그러나 모든 거래의 체결을 보장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미국에서는 허용되나 우리나라에서는 주가변동을 가속화시켜 공정한 가격형성을 해칠 우려가 있기 때문에 금지하고 있으나 향후 허용될 것으로 전망된다.

[주식용어사전정보]가격역지정거래완료 [stopped out, 價格逆指定去來完了]주식용어정리 증권용어사전 주식용어사전 초보주식용어 주식은어 금융용어 주식용어100 주식원리 재테크 국제금융용어 면접금융용어 금융용어정리 주식정보


블로그 이미지

천예탱

경제 흐름에 관해 담아보는 블러그

,

[주식용어사전]개별종목장 [個別種目場]

요약하면 주식용어로 종합 주가지수는 하락하는 데도 주가가 오른 종목이 많은 주식시장이라고 한다.


종합주가지수는 하락하는 데도 주가가 내린 종목의 수보다 오른 종목의 수가 많은 경우의 주식시장을 말한다. 개별기업 재료를 바탕으로 한 종목들이 소테마를 형성하면서 증시흐름과는 관계없이 주가가 강세를 보이는 장세를 뜻한다.

예를 들면, 1996년 4월 제15대 국회의원 총선거를 전후하여 국내경기의 낙관론과 비관론이 엇갈리면서 주식시장이 혼란을 보이며 종합주가지수는 하락했음에도 주가가 오른 종목의 수가 내린 종목의 수보다 많이 등장하였다.

일반적으로 주식시장에서 이러한 장세가 펼쳐지면 시장이 끝물에 도달했다는 것이 통념으로 전해진다. 곧 주가가 오른만큼 자금이 유입되지 않아 대형주보다 가벼운 소형주들이 선호대상이 되는 것이고, 결국 증시가 하락세로 전환된다고 풀이된다.

[주식용어사전]개별종목장 [個別種目場]주식용어정리 증권용어사전 주식용어사전 초보주식용어 주식은어 금융용어 주식용어100 주식원리 재테크 국제금융용어 면접금융용어 금융용어정리 

블로그 이미지

천예탱

경제 흐름에 관해 담아보는 블러그

,

[주식용어사전]거래소회원공매비율 [member short sale ratio, 去來所會員空賣比率]


요약하면 주식용어로 뉴욕 증권거래소의 거래소 회원이 공매한 주식의 비율이다.


미국에서 전체 공매도() 주식중 뉴욕증권거래소(NYSE)의 거래소 회원이 공매한 주식의 비율이다. 공매도란 주가하락을 예상해 주식을 빌려 매도했다가 가격이 떨어지면 되사서 갚아 시세차익을 얻는 기법으로, 주식을 갖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 파는 것을 이른다. 

참고로, 공매비율이란 그 종목 대주잔고를 거래량으로 나눈 수치를 백분율로 표시한 것이다. 그랜빌(Granville)이 창출한 투자분석기법으로 시장기조를 강세화한다는 의미를 구체적으로 나타내 준다. 뉴욕증권거래소 거래소 회원은 국제적으로 인정된 전문가이므로 이들에 의하여 공매비율이 높아지면 앞으로 주가가 하락할 것이라는 것을, 낮아지면 주가가 상승할 것이라는 예상을 하게 해준다.

[주식용어사전]거래소회원공매비율 [member short sale ratio, 去來所會員空賣比率]주식용어정리 증권용어사전 주식용어사전 초보주식용어 주식은어 금융용어 주식용어100 주식원리 재테크 국제금융용어 면접금융용어 금융용어정리 


블로그 이미지

천예탱

경제 흐름에 관해 담아보는 블러그

,

[주식용어사전]단순평균배당수익률 [單純平均配當收益率]


요약하면 주식용어로 주식시장에서 대상종목의 배당수준을 보여주는 지표라 볼 수 있다.


주식시장에서 대상종목의 배당수준을 보여주는 지표이다. 상장주식수에 가중치를 두고 전종목의 배당금 총액을 시가총액으로 나누어서 구하는 가중평균배당수익률에 비교되는 개념이며, 개별종목의 1주당 배당금을 매일의 종가로 나누어 산출하는 종목별배당수익률에 상대되는 개념이다. 

산출방법은 총화법()과 상대법()이 있다. 총화법은 각 종목의 1주당 배당금을 더하여 이를 각 종목의 주가합계로 나누는 방식이고, 상대법은 종목별로 계산된 배당수익률을 모두 더하여 이를 종목수로 나누는 방식이다. 

총화법에 의한 경우는 종목별로 동일한 주식수만큼 균등하게 투자한 경우의 배당수익률을 나타내며, 상대법에 의한 경우는 동일한 금액만큼 투자한 경우의 배당수익률을 나타낸다. 이용하고자 하는 목적에 따라 두 방식 중 한 가지를 사용하는데, 우리나라에서는 총화법으로 산출한다. 

상장된 주식수가 많은 종목이 적은 종목에 비하여 배당수준이 높으면 가중평균배당수익률이 단순평균배당수익률보다 높게 나타나며, 반대의 경우에는 단순평균배당수익률이 높게 나타나게 된다.  

[주식용어사전]단순평균배당수익률 [單純平均配當收益率]주식용어정리 증권용어사전 주식용어사전 초보주식용어 주식은어 금융용어 주식용어100 주식원리 재테크 국제금융용어 면접금융용어 금융용어정리 

블로그 이미지

천예탱

경제 흐름에 관해 담아보는 블러그

,

[주식용어사전]주식공개 [株式公開]

요약하자면 동족회사 또는 소수의 주주로 구성되어 있는 회사의 주식을 개방해 일반 대중들에게 나누어 파는 행위라고 할 수 있다.


회사가 처음 설립될 당시에는 몇몇 가족 ·친지들끼리 투자를 하는 경우가 보통인데, 이 개인회사 ·가족회사가 성장하여 국민경제적인 중요성이 커지면 그 사업을 더 키우고 안정시키기 위해서 많은 사람이 주주로 참여하는 명실상부한 주식회사로 탈바꿈할 필요가 있다. 한국에서는 1968년 자본시장육성법을 제정 ·공포하여 주식을 대중에게 공개하는 회사에 대해서 세금을 경감해 주는 유도정책을 폈으며, 1972년 기업공개촉진법을 제정, 일정 요건에 해당되는 기업에 대하여는 공개를 명령할 수 있도록 규정하였다. 1975년에는 기업공개에 관한 대통령 특별지시로 공개를 늦추어온 각 재벌의 주력기업들도 주식을 공개하도록 하였다. 그 결과 1967년 말 24개 사()에 불과하던 공개 상장회사가 1995년 1월 현재 699개 사에 이른다.

[주식용어사전]주식공개 [株式公開]주식용어정리 증권용어사전 주식용어사전 초보주식용어 주식은어 금융용어 주식용어100 주식원리 재테크 국제금융용어 면접금융용어 금융용어정리 

블로그 이미지

천예탱

경제 흐름에 관해 담아보는 블러그

,

[주식용어사전]가격가중지수 [price-weighted index, 價格加重指數]

요약하면 주식용어로 포트폴리오를 구성하는 주식가격에 가중치를 둔 지수를 말한다.


주가지수를 산출하는 방법 중 하나로, 포트폴리오를 구성하고 있는 주식들의 가격에 의해 가중치를 둔 지수를 말한다. 주가에 상장주식수를 가중하여 주가지수를 산출하는 시가총액가중지수(calitalization-weighted index)에 상대되는 개념으로, 미국의 다우존스공업평균지수가 대표적이다. 흔히 다우존스식이라고도 한다.

지수편입종목의 주가의 합을 동일종목의 수로 나눈 것으로 기업규모에 관계없이, 그리고 등락률이 동일하더라도 주가가 높은 종목의 움직임이 낮은 종목보다 큰 영향력을 나타내는 지수이다. 편입종목이 분할하면 그 분할종목이 미치는 영향이 작아지고 다른 모든 종목의 영향이 약간 커지는 특징을 갖는다. 

기업규모와 관련이 없으므로 널리 사용되지는 않는다. 이에 비하여 시가총액가중지수는 뉴욕증권거래소에서 거래되고 있는 모든 주식에 적용하고, 우리나라에서도 종합주가지수(KOSPI)에 반영하는 지수이다.

[주식용어사전]가격가중지수 [price-weighted index, 價格加重指數]주식용어정리 증권용어사전 주식용어사전 초보주식용어 주식은어 금융용어 주식용어100 주식원리 재테크 국제금융용어 면접금융용어 금융용어정리 


블로그 이미지

천예탱

경제 흐름에 관해 담아보는 블러그

,

[주식용어사전]가수급 [假收給]

요약하자면 주식용어로서 자금이나 주식을 빌려 주식을 매매하는 행위를 말한다.


주식을 매입할 자금이 없거나 팔 주식을 가지고 있지 않을 때, 주식을 사고 파는 것을 말한다. 주식의 신용거래에서의 공매도()를 가공급으로 보고 공매입·공매도를 일괄하여 부르는 명칭이다.

매매량과 환금성을 높일 수 있고 주가의 급등이나 급락을 막아 주가안정에도 도움을 주지만, 가격변동을 이용한 단기차익을 목적으로 하는 경우 과투기를 유발한다는 부정적인 측면도 가지고 있다. 한편, 실수요가 적고 가수급을 중심으로 형성되는 장세를 가수요(imaginary demand) 장세라고 한다.

[주식용어사전]가수급 [假收給]주식용어정리 증권용어사전 주식용어사전 초보주식용어 주식은어 금융용어 주식용어100 주식원리 재테크 국제금융용어 면접금융용어 금융용어정리 


블로그 이미지

천예탱

경제 흐름에 관해 담아보는 블러그

,